재산세는 지방세입니다. 즉 지방자체단체가 징수하는 것이고 그곳에 납부하는 것입니다. 세금은 전부 국세청에서 징수하는 것으로 알고 재산세를 세무서에 문의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지방세는 지방자치단체인 시청, 군청, 구청 등에 납부하는 것입니다. 문의 또한 세무서나 국세청이 아닌 구청 세무과나 재산세과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누가 내는 거죠? (재산세 과세기준일)
재산세의 과세기준일은 매년 6월1일이고 납부하는 사람은 6월1일 당시의 소유주입니다. 그 전날인 5.31일까지 집을 소유하다가 6월1일자로 팔게 되면 억울하지만 새로운 매수인이 재산세를 납부해야 하는 것입니다.
부동산이 매매되어 지방세 과세기준일 당시 소유자가 누구인지 애매할 때는 아래와 같이 적용합니다. 매매잔금 지급일과 등기접수일중 빠른 날짜가 부동산을 취득한 시기가 됩니다. 예를 들면 5.31일에 잔금지급하고 6.1일에 등기접수 했다면 새로운 매수인이 납부합니다.
부동산 거래할 때는 재산세를 꼭 챙기세요.
언제, 어디에 내는 거죠? (납부시기, 인터넷 납부)
주택은 7월과 9월에 반씩 나눠서 납부합니다.
건축물은 7월에 납부하고, 토지는 9월에 납부합니다.
요즘은 재산세를 인터넷으로 많이들 납부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하고 위택스라는 지방세 납부 사이트에서 결제하면 됩니다.
위택스
얼마나 내는 거죠? (재산세 과세표준 및 계산)
부동산의 공시가격 또는 시가표준액과 세율에 따라 다르게 징수됩니다. 터무니없는 금액이 나올경우 시군구청의 세무과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토지,주택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시가표준액은 위택스의 시가표준액 조회에서 하시면 됩니다.
부동산 공시가격알리미
위택스 시가표준액조회
재산세의 계산 구조는 간단합니다..
재산세 = (공시가격 X 공정시장가액비율) X 재산세율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정부에서 발표하는 것이고 현행 공정시장가액 비율은 위 표와 같습니다. 공시가격은 실거래가격이 아니며 실제 거래가격과는 괘 차이가 납니다. 대략 실거래가의 60%~70%. 정도로 보면 됩니다.
2018/05/21 - [부동산] - 증여세 세율과 면제한도는 알고 계셔야죠.
2018/05/12 - [부동산] - 상속세 세율과 상속순위는 정도는 알고 있어야죠.
즐거운 하루 되세요.
Vanxy..